IT관련/IT교육

[코딩야학] 4일차 정리

Sisi0210 2020. 1. 5. 14:33

4일차 진도는 부모 자식과 목록부터 HTML 태그의 제왕까지이다.

 

부모 자식과 목록

: 태그 간의 관계를 나타는 표현. 필요에 따라 관계가 달라질 수 있다.

BUT, 몇몇 태그는 고정된 관계인 태그가 있다. Ex.<ul><li>

 

<li> 태그

대표적인 태그인 <li> 태그는 목록을 만들어 주는 list 태그이다.

 

<ul> 태그 : unordered list

li 태그를 쓰면 목록을 만들어주지만 여러 개의 목록이 필요할 때, 구분이 안된다는 단점이 있다.

목록을 다른 목록과 구분할 수 있게 해주는 태그가 <ul>태그이다.

ul 태그와 li 태그는 서로가 반드시 필요한 관계이므로 고정적인 부모자식 관계이다.

 

<ol> 태그 : Ordered list

목록이 3-4개가 아니라 엄청 많다면?

많은 목록 중에서 하나를 삭제한 후에 번호를 수정해야 한다면?

많은 시간이 필요하다.

이런 비효율을 효율적으로 바꿔주는 태그가 ol 태그이다.

 

 

문서의 구조와 슈퍼스타들

문장 <<< 페이지 <<< 책

코드 <<< 웹페이지 <<< 웹사이트

 

정보가 많아짐에 따라 정보를 정리정돈하기 위한 체계, 즉 구조가 필요하다.

 

<title> 태그 : 웹페이지 제목을 지정해주는 태그

만든 웹페이지에 tile을 달지 않으면 파일명이 제목이 된다.

 

제목을 달아서 페이지 제목을 이쁘게 바꿔주자.

 

 

title 태그는 검색엔진이 웹페이지를 분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태그이므로 꼭 사용하는 것이 좋다.

 

<meta> 태그 : 웹 서버와 웹 브라우저간 상호 교환되는 정보를 정의하는 태그

디자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, 문서의 내용, 키워드, 작성자, 언어체계 등 문서 자체의 특성을 담고 있다.

 

예로 언어체계를 보면 영어가 아닌 문자로 웹페이지를 만들면 문자가 깨지는 경우가 있다.

editor의 하단을 보면

웹페이지의 언어체계 방식이 UTF-8 방식으로 저장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.

웹페이지가 UTF-8로 저장되었다면 웹페이지를 열 때도 UTF-8 방식으로 해석해서 열어야한다.

이 해석방식이 일치하지 않을 때, 문자가 깨지는 것이다.

 

문자가 깨지지 않게 열어주기 위해 정보를 정의하는 태그인 meta 태그를 사용해서 방식을 지정해주는 것이다.

 

 

<head> 태그 : 본문을 설명하는 태그를 감싸는 태그

<body> 태그 : 본문을 감싸는 태그

<html> 태그 : <head>태그와 <body>태그를 감싸는 태그

<!doctype html> : 해당 웹페이지가 HTML로 만들어졌다는 것을 표현하는 코드

<title>WEB1 - HTML</title>
<meta charset="utf-8">

<title>태그와 <meta> 태그는 본문에 해당하는 것이 아닌 본문을 설명하는 정보로 본문 밖에서 다른 태그로 분리하여 정리해야 한다.

 

본문은 <body>태그로

본문을 설명하는 태그는 <head>태그로 정리한다.

 

웹페이지의 구조 완성!

 

HTML 태그의 제왕

매일 백 번 넘게 사용하는 기능을 표현하는 태그!

HyperText Markup Language(HTML)의 HyperText가 의미하는 태그!

닻을 의미하는 anchor의 첫글자 a!

<a> 태그 : 링크(link)를 의미하는 태그

HTML의 공식 사용설명서 페이지를 링크를 걸어보자.

https://www.w3.org/TR/html5/

 

HTML Standard

 

html.spec.whatwg.org

target="_blank" : 새창에서 페이지 열기 속성

title="html5specification" : 링크가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를 툴팁으로 보여주는 속성

 

4일차 정리 끝!